민주주의의 대변인인 토마스 제퍼슨은 미국 건국의 아버지이며 독립선언서(1776년)의 주요 저자이며 미국의 제3대 대통령(1801~1809년)이다.
정파간 갈등이 한창이던 1800년 어느 날 토마스 제퍼슨은 사적인 편지에서 “나는 성스러운 신의 제단 앞에서 인간의 마음을 지배하는 모든 종류의 독재에 맞서 영원히 싸울 것을 맹세한다.”라고 적고 있다.
열렬한 자유 옹호자였던 토마스 제퍼슨은 1743년 버지니아 주 앨버말 카운티에서 태어났다. 그는 농장주이자 측량기사였던 아버지로부터 5,000여 에이커에 달하는 농장을 상속받았으며, 명문 랜돌프 가문 출신인 어머니에게서는 높은 사회적 계급을 물려받았다. 윌리엄 앤 메리 대학을 졸업하고 법률을 공부했으며 1772년에는 미망인이었던 마사 웨일즈 스켈턴과 결혼하여 당시 공사가 진행되고 있던 언덕 위의 저택 ‘몬티첼로’에 신방을 꾸몄다.
주근깨 박힌 얼굴에 엷은 갈색 머리를 하고 다소 큰 키에 어눌한 느낌을 주던 제퍼슨은 뛰어난 문장가였지만 청중을 휘어잡는 웅변가는 아니었다. 버지니아 주 하원과 대륙회의에 참여했을 때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그의 애국충정은 목소리가 아닌 펜 끝으로 표현되었다. 33세의 나이에 제퍼슨은 대륙회의의 ‘소리없는 일원’으로서 독립선언서를 기초하였다. 이후 수 년 동안 그는 버지니아에서 독립선언서의 문구들을 현실로 만드는 작업에 매진하였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1786년 통과된, 종교의 자유를 규정한 법안이다.
제퍼슨은 1785년에 벤자민 프랭클린의 후임으로 프랑스 공사에 임명되었다. 프랑스혁명에 동조적이었던 제퍼슨은 조지 워싱턴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알렉산더 해밀턴과 그 문제로 충돌을 빚게 되었다. 그는 1793년에 사임했다.
정파간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었고 연방주의자와 민주공화주의자로 대별되는 양대 정치세력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퍼슨은 프랑스 혁명정신에 동조하는 공화파의 지도부를 점진적으로 장악하게 되었다. 그는 연방주의자들의 정책을 비판하면서 강력한 중앙집권적 정부에 반대하고 각 주의 자치권을 옹호하였다.
1796년 대선에 마지못해 출마한 제퍼슨은 득표수에서 당선자를 세 표 차 이내까지 추격하였다. 이 선거에서 제퍼슨은 애덤스 대통령당선자의 경쟁후보였지만 헌법상의 허점으로 부통령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1800년 대선에서 이러한 허점은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였다. 자신들의 당에서 대통령과 부통령을 모두 당선시키고자 했던 공화파는 제퍼슨과 아론 버 후보의 득표수를 동률로 만들고 말았다. 결국 헌법에 따라 하원에서 대통령을 결정하게 되었으며, 연방파의 해밀턴은 제퍼슨과 아론 버 둘 다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제퍼슨을 대통령으로 선출하게 되었다.
제퍼슨이 취임할 즈음 프랑스와의 분쟁은 해결 국면에 접어든 상태였다. 그는 육해군 국방비 지출을 삭감하였으며 정부예산을 긴축편성하고 서부지역 주민들의 최대 불만사항이었던 위스키 주세를 폐지함과 동시에 국가채무 규모를 3분의 1 이상 축소하였다. 또한 지중해 연안에서 미국의 교역을 방해하던 바르바리 해적들을 소탕하기 위해 해군 소함대를 파견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비록 헌법에서는 새 영토 매입에 관한 조항을 명시하고 있지 않았지만 1803년 나폴레옹에게서 루이지애나 지역을 매입할 기회가 생기자 위헌성 여부에 대한 양심의 가책을 무릅쓰기도 하였다.
제퍼슨은 자신의 두 번째 재임기간 중에 미국이 영불전쟁에 휘말리게 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부심하였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 모두 미국 상선들의 중립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제퍼슨이 고육책으로 내놓은 금수조치 역시 역효과를 냈고 국민들의 원성을 샀다.
정계 은퇴 후 몬티첼로로 돌아온 제퍼슨은 고향에 머물면서 버지니아대학교 건립 등 여러 사업을 구상하였다. 어느 프랑스 귀족은 그를 가리켜 “우주를 명상할 수 있는 높은 자리”에 자신의 집과 마음을 둔 인물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제퍼슨은 1826년 7월 4일에 세상을 떠났다.
WhiteHouse.gov에 실린 각 대통령의 전기 출처: “미합중국의 대통령들(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프랭크 프라이델, 휴 시드니 공저). Copyright 2006 백악관역사협회(White House Histor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