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그당원인 밀라드 필모어는 미국의 제13대 대통령(1850~1853년)으로 민주당이나 공화당 소속이 아닌 마지막 대통령이다.
통나무집에서 태어나 경제적 성공을 거두고 백악관까지 진출한 밀라드 필모어는 평범한 사람도 꾸준한 노력과 약간의 능력을 통해 얼마든지 아메리칸 드림을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1800년 뉴욕 핑거 호수 근처에서 태어난 필모어는 어려서부터 개척민으로서의 궁핍한 생활에 익숙해져야 했다. 그는 유년시절에 아버지의 농장에서 일을 도왔고 15세 때 직물처리기술자의 도제로 들어갔다. 필모어는 한 교실에서 전 학년이 함께 공부하는 학교에 다녔고 그 곳에 교사로 있던 붉은 머리의 애버게일 파워스와 사랑에 빠지게 되어 후에 결혼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1823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필모어는 7년 뒤 버펄로에서 변호사사무실을 개업했다. 휘그당 소속 정치인이었던 써로우 위드의 동료였던 필모어는 주정부 내에서 공직을 맡는 한편 하원의원으로 8년간 재임했다. 그 뒤 뉴욕의 회계감사관으로 근무하던 1848년에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850년 타협안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이 진행되던 수 개월 동안 필모어는 상원의장직을 겸하고 있었으나 타협안에 대한 자신의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타일러 대통령이 사망하기 며칠 전 그는 대통령에게 자신이 캐스팅보트를 쥐게 될 경우 헨리 클레이의 안에 지지표를 던질 것이라고 암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1850년 7월 필모어는 급작스럽게 대통령직을 승계하게 되고 행정부 내 정치구도에 대격변이 일어나게 되었다. 테일러 내각은 총사퇴하였고 필모어는 즉시 다니엘 웹스터를 국무장관으로 임명하였다. 그리하여 타협안을 지지하던 온건 휘그당과의 연합을 선언하게 되었다.
캘리포니아 연방편입 법안은 노예제 확대 찬반을 둘러싼 격론을 불러일으켰으며 주요 쟁점들에 대한 논의는 전혀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었다.
정쟁에 지친 클레이는 당 지도권을 스티븐 더글라스 상원의원에게 이양하고 요양을 위해 워싱턴 정가를 떠났다. 이러한 절체절명의 시점에서 필모어 대통령은 타협안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1850년 8월 6일 의회에 제출한 교서에서 필모어는 텍사스가 뉴멕시코 영토 일부에 대한 소유권 주장을 포기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받을 것을 제안했다.
이 제안으로 상당수의 북부 출신 휘그당 소속 의원들이 윌모트 단서조항(멕시코 전쟁을 통해 얻은 모든 영토에서 노예제도를 허용하지 않는다)을 더 이상 고집하지 않게 되었다.
더글라스의 효과적인 의회전략은 필모어의 압박과 맞물려 타협안을 도출하려는 움직임에 힘을 실어주게 되었다. 더글라스는 클레이가 제출한 단일법안을 분리시켜 총 5개의 개별법안을 상원에 제출하였다.
- 캘리포니아를 자유주로 편입한다.
- 텍사스 경계선을 확정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실시한다.
- 뉴멕시코에 준주(準州)의 지위를 부여한다.
- 도망노예를 찾는 주인은 연방기관의 협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컬럼비아 특별구에서의 노예매매를 금지한다.
각각의 법안은 과반수 찬성표를 얻어 의회를 통과했고 9월 20일 필모어는 이 법안들에 서명하였다. 웹스터는 “이제 안심하고 밤잠을 잘 수 있을 것”이라고 당시의 상황을 묘사했다.
그러나 휘그당 내의 강경파들은 이 법안의 통과에 여전히 불만을 나타냈고 도망 노예법에 서명한 필모어를 결코 용서하지 않았다. 결국 이들 불만세력의 입김으로 필모어는 1852년 대선에서 후보자 지명을 받지 못했다.
몇 년 지나지 않아 타협안이 큰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타협안은 애초의 목적과 달리 노예제 논란을 완전히 종식시켰다기보다는 불안정한 휴전 상태에 들어간 것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1850년대 휘그당이 붕괴 위기를 겪고 있을 무렵 필모어는 공화당 입당을 거절했다. 하지만 그 대신에 1856년 대선에서 아메리칸당으로도 불리던 ‘노우나씽(Know Nothing)’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을 받아들였다. 필모어는 남북전쟁 기간 링컨 대통령에 반기를 들었고 전후 재건 기간에는 존슨 대통령을 지원했다. 그는 1874년에 눈을 감았다.
WhiteHouse.gov에 실린 각 대통령의 전기 출처: “미합중국의 대통령들(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프랭크 프라이델, 휴 시드니 공저). Copyright 2006 백악관역사협회(White House Histor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