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A. 가필드는 하원에서 9선을 기록한 뒤 1881년에 미국의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는 대통령직을 강력히 수행하였지만 암살 당함으로써 200일 만에 임기가 단명에 그치게 되었다.
통나무집 출신 대통령으로서는 마지막이었던 제임스 A. 가필드는 재임기간에 정치부패에 맞서 싸우는 한편 재건 기간에 빼앗겼던 대통령의 권위도 일부 되찾아왔다.
그는 1831년 오하이오 주 쿠야호가 카운티에서 태어났다. 두 살 때 부친을 여읜 그는 후에 운하 보트 팀을 이끌었고 여기에서 진학에 충분한 돈을 모았다. 1856년 매사추세츠 주 소재 윌리엄스 대학을 졸업한 후 오하이오 주에 위치한 웨스턴리저브 이클레틱 인스티튜트(히람 대학의 전신)로 돌아와 고전학 교수로 재직했고 1년이 지나지 않아 총장이 되었다.
가필드는 1859년 공화당 소속으로 오하이오 주 상원의원에 선출되었다. 남부 주들의 연방탈퇴 위기정국에서 그는 연방탈퇴주들을 강제로라도 연방으로 복귀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지지했다.
1862년 연방군이 전투에서 거의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 있을 무렵 그는 남부동맹군 병력에 맞서 켄터키 주 미들크릭에서 자신의 여단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다. 소장 계급을 단 지 2년 만인 31세 때 가필드는 준장으로 진급했다.
한편 1862년에는 오하이오 주 유권자들이 그를 의회로 보냈다. 링컨 대통령은 그를 설득하여 군에서 전역하도록 했다. 당시에는 의회에서 능력있는 공화당 인사를 등용하는 것보다 육군 소장을 찾는 편이 더 쉬웠다. 가필드는 이후 18년 간 의원을 지냈고 하원에서 공화당 지도부의 지위에 올랐다.
1880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가필드는 자신의 친구였던 존 셔먼을 대통령 후보자로 지명시키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오히려 36번째 재투표에서 가필드 자신이 ‘다크호스’로서 대통령 후보에 지명되었다.
가필드는 일반투표에서 고작 1만 표 차이로 민주당 후보였던 윈필드 스콧 핸콕을 따돌렸다.
대통령에 취임한 가필드는 당시 공화당 강경파의 리더였고 뉴욕 연방공직 임명권을 쥐고 있던 로스코 콘클링 상원의원의 거점이었던 뉴욕세관에 대한 연방정부의 통제를 강화하였다. 가필드가 상원에 제출한 연방공직 임명안에는 다수의 콘클링 계 인사들 외에 콘클링의 정적이었던 윌리엄 H. 로버트슨이 뉴욕세관 책임자로 올라 있었다. 콘클링은 이에 반발하였고 상원으로 하여금 이 임명안을 거부하도록 설득하는 동시에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임명안의 철회를 호소했다.
그러나 가필드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이 조치는…… 대통령이 상원의 말단 직원인지 미합중국의 행정수반이지 여부를 판가름해 줄 것이다…… 미국 제1의 항구가…… 연방정부의 통제하에 있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파벌정치를 일삼는 지역 상원의원의 손아귀에 있어야 하는지 결정할 것이다.”라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
콘클링은 상원이 가필드의 임명안 중에서 하자가 없는 임명자들만을 인준하고 로버트슨 임명에 대해서는 인준 조치를 취하지 않도록 배후에서 조종했다. 이에 가필드는 로버트슨을 제외한 모든 지명자들을 임명안에서 철회하였다. 상원은 로버트슨을 인준하든지 콘클링 계 인사들을 모두 희생시키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절박한 상황에 몰린 콘클링은 최후의 수단으로 동료 뉴욕 상원의원과 동반 사퇴했다. 뉴욕 주의회가 자신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재선시켜 줄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었다. 그의 바람과는 달리 주의회는 전혀 다른 두 인물을 상원의원으로 선출했고 상원은 로버트슨 임명안을 인준했다. 가필드의 승리였다.
외교정책에 있어서는 가필드 행정부의 국무장관이 1882년 미주대륙 전체 국가들을 초청하여 워싱턴에서 회의를 개최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 회의는 성사되지 못했다. 1881년 7월 2일 가필드는 워싱턴의 한 기차역에서 영사관 직원 직을 원했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해 앙심을 품은 한 변호사에 의해 저격 당했다.
치명상을 입은 가필드는 수 주 동안 백악관에서 치료를 받았다. 전화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자신이 설계한 유도균형 전기장치로 몸에 박힌 흉탄을 찾으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9월 6일 가필드는 뉴저지의 해안으로 옮겨졌다. 처음 며칠 동안 그는 건강을 회복하는 듯했다. 하지만 1881년 9월 19일 그는 감염과 내부 출혈로 사망했다.
WhiteHouse.gov에 실린 각 대통령의 전기 출처: “미합중국의 대통령들(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프랭크 프라이델, 휴 시드니 공저). Copyright 2006 백악관역사협회(White House Histor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