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통령으로 재임한 몇 주 동안 해리 S. 트루먼은 루스벨트 대통령의 얼굴을 본 적도 거의 없었을뿐더러 원자폭탄의 개발이나 악화일로를 치닫던 소련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전혀 보고 받은 바가 없었다. 1945년 4월 12일에 급작스럽게 미국의 제33대 대통령에 취임하게 된 트루먼은 이러한 문제들을 포함한 수많은 전시의 난제들을 하루아침에 떠안게 되었다.
부통령으로 재임한 몇 주 동안 해리 S. 트루먼은 루스벨트 대통령의 얼굴을 본 적도 거의 없었을뿐더러 원자폭탄의 개발이나 악화일로를 치닫던 소련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전혀 보고 받은 바가 없었다. 1945년 4월 12일에 급작스럽게 대통령에 취임하게 된 트루먼은 이러한 문제들을 포함한 수많은 전시의 난제들을 하루아침에 떠안게 되었다. 그는 기자들에게 “하늘의 달과 별과 모든 행성들이 내 머리 위로 떨어진 느낌”이라고 말했다.
트루먼은 1884년에 미주리 주 라마에서 태어났다. 그는 인디펜던스에서 성장했고 12년 동안 미주리에서 농부로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야전포병대 대위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프랑스에서 복무했다. 귀국 후 엘리자베스 버지니아 월리스와 결혼했고 캔자스시티에서 잡화점을 열었다.
열성 민주당원이던 트루먼은 1922년에 잭슨 카운티 법원의 판사(행정직)로 임명되었다. 1934년에는 상원에 진출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그는 상원 전쟁조사위원회장을 맡아 예산낭비와 부패 실태를 감독하고 많게는 150억 달러에까지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예산을 절약했다.
트루먼은 대통령으로서 역사상 가장 중대한 결정들을 내렸다. V-E데이(‘유럽에서의 승리’의 날) 직후 일본을 상대로 한 전쟁은 최종 단계에 다다랐다. 일본은 연합군의 항복 권유를 묵살했다. 보좌관들과의 협의 끝에 트루먼은 전쟁준비의 본거지였던 두 도시에 원폭 투하를 명령했다. 이 두 도시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였다. 일본의 즉각적인 항복이 뒤따랐다.
1945년 6월에 그는 세계평화의 염원을 안고 창설된 유엔헌장의 조인식을 지켜보았다.
여기까지가 전임 대통령의 정책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었다면 얼마 지나지 않아 트루먼은 자신만의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는 의회에 21개항으로 구성된 자신의 정책안을 제출했다. 이 정책안은 사회보장제도의 확대, 완전고용 프로그램, 공정고용법의 영구법 제정, 공공주택 건설 및 빈민지역 철거를 골자로 하고 있었다. 트루먼은 자신의 이러한 정책들이 “명실상부한 대통령으로서 내가 국가를 이끌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고 적었다. 트루먼의 정책은 이후 ‘페어 딜’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트루먼이 재선에 성공했던 1948년의 세계정세는 위험과 위기로 점철되어 있었다. 그는 이미 대외정책에서 자신의 탁월한 지도력을 입증하고 있었다.
1947년에 소비에트연방이 터키를 압박하고 게릴라전을 통해 그리스를 침공하겠다는 위협을 하자 트루먼은 자신의 이름을 딴 ‘트루먼 독트린’을 선포하며 의회에 이들 두 국가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당시 국무장관의 이름을 붙인 ‘마샬 플랜’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유럽경제의 기적적인 부활을 가능케 했다.
1948년에 소련이 서베를린을 봉쇄하자 트루먼은 소련이 물러설 때까지 대대적인 공중작전을 통해 필요한 물자를 공급했다. 이와 동시에 그는 서방국가들을 보호하기 위한 군사동맹기구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창설을 주도했고 1949년에 마침내 뜻을 이루었다.
1950년 6월에 북한의 공산주의 정권이 남한을 침공하자 트루먼은 즉각 자신의 군사 보좌관들을 소집해 의견을 물었다. 훗날 트루먼은 이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이 침공에 대항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는 데에 거의 협의가 필요없을 정도로 모든 참석자들의 의견이 한데 모아졌다. 유엔이나 미국 어느 한 편이라도 여기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의견을 밝힌 사람은 없었다.”
유엔군이 전전(戰前) 남한 경계선 위쪽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길고 무기력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트루먼은 중국, 더 나아가서는 소련과의 정면충돌을 피하기 위해 전쟁이 제한전 이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재선 출마를 포기한 그는 인디펜던스로 은퇴했으며 삶에 대한 끈질긴 집념으로 88세 되던 해까지 살다가 1972년 12월 26일에 사망했다.
WhiteHouse.gov에 실린 각 대통령의 전기 출처: “미합중국의 대통령들(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프랭크 프라이델, 휴 시드니 공저). Copyright 2006 백악관역사협회(White House Histor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