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g

An official website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조지 워싱턴
2 MINUTE READ
2017년 4월 28일

조지 워싱턴

 

조지 워싱턴은 1789년 4월 30일 뉴욕 월스트리트 연방 홀 발코니에 서서 미 합중국 초대 대통령으로서 취임 선서를 했다.

조지 워싱턴은 1789년 4월 30일 뉴욕 월스트리트 연방 홀 발코니에 서서 미 합중국 초대 대통령으로서 취임 선서를 했다. 그는 제임스 메디슨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든 것의 처음으로서 현재의 상황에서 선례를 세우기 위해 봉사할 것이다. 내가 진실로 원하는 바는 이러한 선례들이 진정한 원칙들 위에 서는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1732년 버지니아의 대농장 가문에서 태어난 조지 워싱턴은 도덕과 예의범절 그리고 18세기 버지니아 신사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일체의 지식을 습득했다.

그는 무예와 서부개척이라는, 서로 연관성 있는 두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 16세에 토마스 페어팩스 경을 도와 쉐난도 지역 토지측량에 참가하였으며, 1754년에는 중령으로 임관하여 후에 ‘프렌치-인디언 전쟁’으로 비화하게 될 초기 전투들에 참전하였다. 에드워드 브래독 장군의 참모로 복무하던 이듬해에는 총탄 네 발이 겉옷을 관통하고 타고 있던 말 두 마리가 적탄에 맞는 아찔한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큰 부상 없이 위기를 모면하기도 하였다.

1759년부터 미국독립혁명이 발발하기까지 조지 워싱턴은 마운트 버넌 근처에 위치한 자신의 농장을 돌보는 한편 버지니아 주의 하원에서 의원직을 맡고 있었다. 그리고 당시 미망인이었던 마사 댄드리지 커스티스와 결혼하여 분주하면서도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주변의 다른 농장주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영국상인들에 의해 착취당하고 영국의 규제에 의해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느꼈다. 이런 상황에서 영국과의 갈등이 갈수록 심해지자 워싱턴은 영국정부의 규제에 대한 자신의 반대의견을 온건하지만 단호한 어조로 피력하기에 이르렀다.

1775년 5월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제2차 대륙회의에 버지니아 주 대표 중 한 사람으로 참가한 조지 워싱턴은 대륙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7월 3일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에서 제대로 된 군사훈련이라고는 거의 받지 못한 병력을 지휘하게 된 그는 이후 6년간 계속될 엄혹한 전쟁에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개전 초기에 조지 워싱턴은 영국군을 괴롭히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는 의회 보고에서 “우리는 필요에 의한 상황이 아니라면 어떠한 경우에도 영국군을 상대로 전면전을 벌이거나 위험을 감수하지 말아야 하며 이러한 불가피한 상황에 절대로 말려들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뒤이은 전투들에서 대륙군은 시간을 지연하며 퇴각하고 급작스럽게 반격하는 전술로 영국군에 대항하였다. 마침내 1781년 프랑스 연합군의 지원을 받아 그는 요크타운에서 콘월리스의 항복을 받아냈다.

전쟁이 끝난 뒤 조지 워싱턴은 마운트 버넌 농장으로의 귀향을 원했지만 연합규약하의 국가체제가 아직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곧 깨닫게 되었다. 그리하여 1787년 필라델피아에서 소집된 제헌회의의 사전준비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제헌헌법이 의회에서 비준되자 대통령 선거인단은 그를 만장일치로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워싱턴은 제헌헌법에 따라 의회가 정책입안의 모든 권한을 가진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러한 의회의 권한에 참견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외정책 결정에 관한 한 전권은 대통령에게 있었다. 일례로 프랑스혁명의 여파로 영불전쟁이 발발했을 때 워싱턴은 친불 진영의 토마스 제퍼슨 국무장관과 친영 진영의 알렉산더 해밀턴 재무장관 어느 쪽의 조언도 완전히 수용하지 않고 미국이 부강해질 때까지는 중립을 지킬 것을 고수하였다.

조지 워싱턴의 바람과는 달리 그의 첫 번째 임기가 끝나갈 무렵 이미 양당 구도가 형성되고 있었다. 정치에 지치고 자신이 늙었다고 생각한 워싱턴은 두 번째 임기 말에 사퇴하였다. 자신의 고별사에서 조지 워싱턴은 미국민들에게 지나친 당파성과 지역 감정을 버릴 것을 호소하였으며, 대외정책에 있어서는 항구적인 동맹관계의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공직에서 물러난 후 마운트 버넌에서의 생활은 3년이 채 지나지 않아 끝나고 말았다. 1799년 12월 14일 조지 워싱턴은 인후염으로 목숨을 잃었으며 이후 수개월 동안 전 국민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WhiteHouse.gov에 실린 각 대통령의 전기 출처: “미합중국의 대통령들(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프랭크 프라이델, 휴 시드니 공저). Copyright 2006 백악관역사협회(White House Histor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