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g

An official website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조지 H. W. 부시
2 MINUTE READ
2017년 5월 4일

조지 H. W. 부시

 

조지 H. W. 부시는 제41대 대통령(1989~1993년)으로 취임하면서 전통적인 미국의 가치들을 존중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미국을 ‘보다 친절하고 부드러운 국가’로 이끌어 나가겠다는 통치이념을 표방했다.

조지 부시는 대통령 당선과 함께 전통적인 미국의 가치들을 존중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국을 ‘보다 친절하고 부드러운 국가’로 이끌어 나가겠다는 통치이념을 표방했다. 취임사에서 부시는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충만한 지금 순간에’ 미국의 국력을 ‘선(善)을 위한 힘’으로 사용하겠다고 공약했다.

대대로 공직자를 배출한 가문에서 태어난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는 전시와 평시 모두 국가에 봉사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가졌다. 1924년 6월 12일에 매사추세츠 주 밀턴에서 출생한 그는 앤도버에 소재한 필립스 아카데미에서 학생대표를 맡았고 18세 되던 해 생일에 군에 입대했다. 조종사 자격을 따냈을 때 부시는 해군 최연소 조종사였고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58회 출격했다. 태평양 상공에서 뇌격기를 조종하던 그는 일본군 대공포화를 맞고 바다에 추락했으나 미군 잠수함에 의해 구조되기도 했다. 그는 무공을 인정받아 수훈비행십자훈장을 받았다.

전역 후 부시는 공부를 마치고 가문을 일으키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1945년 1월에 그는 바바라 피어스와 결혼했다. 부시 부처는 슬하에 조지, 로빈(어려서 사망함), 존(젭으로 알려져 있음), 닐, 마빈, 도로시 6남매를 두었다.

예일대 재학 시절 부시는 학업과 스포츠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야구부 주장이면서 파이베타카파(Phi Beta Kappa) 회원이었다. 졸업 후 그는 서부 텍사스의 정유업계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1952년에 코네티컷주 상원의원으로 당선된 아버지 프레스콧 부시와 마찬가지로 조지 부시 역시 공직과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텍사스주 하원의원으로 두 번의 임기를 마쳤고 상원의원 선거에 두 번 도전했지만 모두 낙선했다. 이후 그는 유엔 대사, 공화당 국가위원회장, 중화인민공화국 미국연락사무소장, 중앙정보국장 등 일련의 고위 공직을 두루 거쳤다.

1980년에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섰지만 지명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로널드 레이건의 러닝메이트로 선택되었다. 부통령으로서 부시는 연방규제완화와 마약방지 프로그램을 포함한 몇몇 국내 현안에 대한 책임을 맡았고 전 세계 수십 개 국가를 방문했다. 1988년에 부시는 공화당 대선 후보로 지명되었고 댄 퀘일 인디애나주 상원의원을 러닝메이트로 선택하여 마이클 듀카키스 매사추세츠 주지사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40여 년에 걸친 냉전이 종식되고, 공산주의 제국이 와해되며, 베를린장벽이 붕괴하는 가운데 부시는 급변하는 세계 정세와 직면하게 되었다. 소련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부시가 지지했던 개혁성향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사임했다. 민주주의의 전파를 환영하면서도 그는 일부 신생국가 집단에 대한 미국의 대외정책에서의 제한적인 접근을 강조했다.

대외정책의 다른 분야에서 부시는 파나마운하와 현지 미국인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던 마누엘 노리에가 장군의 부패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해 미군병력을 파견했다. 노리에가는 마약거래 혐의로 미국 법정에 서게 되었다.

부시의 가장 큰 도전은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의 쿠웨이트 침공과 연이은 사우디 침공 위협이었다. 쿠웨이트 해방을 선언한 부시는 유엔, 국민, 의회를 설득하여 42만5천 명 규모의 병력을 파병했다. 여기에 11만8천 명 규모의 연합군이 합세했다. 수 주 동안 폭격과 미사일 공격이 진행된 후에 ‘사막의 폭풍’으로 명명된 100시간 지상전이 이라크의 백만 대군을 굴복시켰다.

군사·외교적 승리에 힘입은 사상 유례없는 지지도 상승에도 불구하고 부시는 경제침체, 도심에서의 폭동, 만성적인 재정적자 등 국내 악재를 감당할 수 없었다. 1992년에 그는 민주당 후보 윌리엄 클린턴에게 패해 재선에 실패했다.

WhiteHouse.gov에 실린 각 대통령의 전기 출처: “미합중국의 대통령들(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프랭크 프라이델, 휴 시드니 공저). Copyright 2006 백악관역사협회(White House Histor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