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황의 정점에서 제32대 대통령(1933~1945년)에 취임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국민들이 자신감을 되찾도록 도와주었다.
대공황의 정점에서 대통령에 취임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국민들이 자신감을 되찾도록 도와주었다. 그는 신속하고 적극적인 조치를 약속하면서 희망을 불러일으켰고 자신의 취임사에서 “우리가 유일하게 두려워해야 할 대상은 두려움 그 자체”라고 단언했다.
오늘날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어 있는 뉴욕 하이드 파크에서 1882년에 출생한 그는 하버드 대학과 컬럼비아 로스쿨을 졸업했다. 루스벨트는 1905년 ‘성패트릭의 날’에 엘리너 루스벨트와 결혼했다.
자신과는 먼 친척관계였고 평소 흠모해마지 않았던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역시 정치계를 발판 삼아 공직에 진출했다. 하지만 그의 소속정당은 민주당이었다. 그는 1910년에 뉴욕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윌슨 대통령은 그를 해군차관으로 임명했고, 1920년 대선에서 루스벨트는 민주당 부통령후보로 지명되었다.
1921년 여름 그의 나이 39세 되던 해 재앙이 닥쳤다. 소아마비에 걸린 것이었다. 불굴의 용기를 과시하며 그는, 특히 수영을 통해, 두 다리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장애와 싸웠다. 1924년 민주당 전당대회장에 목발을 짚고 극적으로 나타난 루스벨트는 앨프레드 E. 스미스를 ‘행복한 전사’라고 부르며 후보로 지명했다. 1928년에 루스벨트는 뉴욕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그는 1932년 11월에 대통령에 당선되어 통산 4선의 임기 중 첫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같은 해 3월까지 전국적으로 1,300만 명의 실업자가 집계되었고 거의 대부분의 은행들은 문을 닫았다. ‘취임 백일’ 동안 그는 전면적인 개혁정책안을 의회에 제출하여 기업과 농업을 회생시키고, 집과 농장을 잃게 될 위기에 처한 국민들과 실업자들을 구제했으며, 대표적으로 테네시유역관리청(TVA)을 설립하여 개혁을 뒷받침하려 했고 의회는 이를 받아들여 법제화했다.
1935년이 될 때까지 미국경제는 어느 정도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었지만 기업인들과 금융인들은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에 차츰 등을 돌리게 되었다. 이러한 반대세력들은 루스벨트 행정부가 금본위제도로부터 거리를 두고 재정적자를 용인하는 것에 위기감을 느꼈고 그의 경제실험을 두려워했으며 노동계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가졌다. 이에 루스벨트는 사회보장제도, 부유층에 대한 무거운 세금, 은행과 공공기관에 대한 통제강화, 대규모 실업자 구제정책 등의 새로운 개혁정책으로 맞섰다.
1936년 대선에서 루스벨트는 압도적인 표차로 재선에 성공했다.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등에 업고 있다고 느낀 루스벨트는 고비 때마다 뉴딜 정책의 주요 조치들을 좌절시킨 바 있는 대법원을 확대하기 위한 법안 추진에 들어갔다. 비록 루스벨트가 대법원을 상대로 한 이 싸움에서는 패했지만, 헌법에서의 혁명이 일어났다. 이후 연방정부가 합법적으로 경제를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된 것이다.
루스벨트는 대외정책에서 ‘선린’ 외교정책을 표방했고 그에 따라 먼로 독트린을 기존의 미국에 의한 일방주의에서 침략자에 공동대응하는 다자간 협력체제로 변화시켰다. 그는 또한 중립법안을 통해 미국이 유럽대륙에서의 전쟁에 말려들지 않게 하는 동시에 침략이나 위협에 처한 국가들을 돕는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1940년에 프랑스가 함락되고 영국이 공격을 받게 되자 군사개입을 배제한 모든 가능한 수단으로 영국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일본이 1941년 12월 7일에 진주만을 공습하자 루스벨트는 세계대전 참전에 필요한 미국의 모든 인력과 자원을 조직화하는 작업을 지휘했다.
세계평화의 미래가 미·소관계에 달렸다는 사실을 직감한 루스벨트는 국제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하리라고 그 자신이 기대했던 유엔 창설에 골몰했다.
종전이 가까워오면서 그의 건강은 악화되었고 1945년 4월 12일에 조지아 주 웜스프링스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
WhiteHouse.gov에 실린 각 대통령의 전기 출처: “미합중국의 대통령들(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프랭크 프라이델, 휴 시드니 공저). Copyright 2006 백악관역사협회(White House Histor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