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노트
대변인실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과 미국의 주요7개국 외무장관과 유럽연합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는 아래와 같이 성명을 발표했다.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과 미국의 주요 7개국 (G7) 외무장관과 유럽연합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는 북한이 2022년 5월 25일 실시한 또 다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 2022년 초부터 북한이 실시한 다수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마찬가지로 이번 행동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더욱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것으로 국제 평화와 안보는 물론 국제 비확산 체제를 훼손하는 것이다.
우리는 2021년 실시된 탄도미사일 시험에 기반해 모든 범위에서 점차 다양한 시스템을 갖춘 전례 없는 일련의 탄도미사일 시험에 대해 매우 우려한다. 이 같은 행동은 계속되는 핵 활동 증거와 함께 핵 능력을 발전시키고 다양화하겠다는 북한의 결의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러한 무모한 행동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북한의 의무를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것으로, 안보리는 가장 최근에는 2017년도에 결의안 2397호를 통해 이를 재확인한 바 있다. 이는 역내 국제 민간 항공과 해상 항행에도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제기한다.
G7 외무장관들과 유럽연합 고위대표는 북한이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하고 관련 안보리 결의에 따른 모든 법적 의무를 완전히 준수할 것을 재차 긴급하게 촉구한다.
우리는 13개 회원국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안보리가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대응 조치를 강화하기 위한 결의안 초안을 채택하는 데 실패한 것을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우리는 모든 유엔 회원국, 특히 안보리 이사국들이 북한의 행동을 규탄하고,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해야 하는 북한의 의무를 재확인하는 데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 이 같은 행동에는 유엔 안보리의 단합된 입장과 추가적인 중대 조치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이 필요하다.
우리는 북한이 비핵화를 향한 외교에 관여하고 미국과 한국, 일본이 거듭 제안한 대화 제의를 받아들일 것을 재차 촉구한다. 북한은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자원을 전용하면서 이미 심각한 북한 내 인도주의적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우리는 북한이 국제 인도주의 기구의 접근과 식량, 의약품과 같은 인도주의적 필요에 관한 독립적 평가를 위한 접근을 가능한 한 빨리 용이하게 할 것을 촉구한다.
우리는 또한 모든 국가가 모든 관련 안보리 결의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확산 위험을 시급한 우선순위로 다룰 것을 촉구한다.
G7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이라는 목표를 향해 모든 관련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